목포 시니어 주거 – One in All

B835145_4b0_1
B835145_4b0_2
B835145_4b0_3
B835145_4b0_4
B835145_4b0_6
B835145_4b0_7
B835145_4b0_8
B835145_4b0_9
B835145_4b0_10
B835145_4b0_11
B835145_4b0_12
B835145_4b0_13
B835145_4b0_14
B835145_4b0_15
B835145_4b0_16
B835145_4b0_17
B835145_4b0_18
B835145_4b0_19
B835145_4b0_20
B835145_4b0_21
B835145_4b0_22
DESCRIPTION

프로젝트명 Title of Project: 목포 시니어 주거 – One in All

설계 설명 Description: 

미래의 발전된 교통기술과 함께 더 이상 목포는 전라남도의 한 중소도시가 아닌 서울에서는 근무를 목포에서는 휴식을 할 수 있는 새로운 주거지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고령화시대에 가장 취약한 항구도시의 하나로 우리는 목포에 새로운 시니어타운을 제안하였다.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여러 노인의 문제 중 1인 노인과 노인 불평등에 초점을 맞추어 1인을 위한 50m2의 주거 모듈과 함께 여럿이 살 수 있는 모듈과 더불어 어느 층에서든 의료와 녹지를 누릴 수 있도록 복합적으로 연결된 주거를 계획하였다. 이에 따라 18층 규모의 큰 주거지를 형성을 하면서 상대적으로 부족할 수 있는 녹지를 건물 내부 곳곳에 끌어 들였으며, 3개의 큰 다각적 매스는 4개층 마다 동을 이루며 층에서의 결합 – 4개층에서의 결합 – 각 매스에서의 결합을 계획하였다. 

 

건축의 형태를 결정하기 위해서 크게 향과 전망을 우선적으로 고려 하였고 저층부에서는 기존의 작은 언덕에 형성된 달동네인 송도마을과 우리가 제시한 미래 교통과 결합된 공중가로를 고려하여 축을 설정하였다. 이에 따라 4층 까지는 하나의 마을처럼 보이기 위해 녹지와 상권을 작게 조각내어 기존의 조각나있는 도시조직을 반영하였으며, 5층부터의 주거시설은 각 부분에서 향과 전망을 최대한 반영하기 위해 다각적인 각으로 분할되어 있다. 이에 따라 굉장히 거대한 매스를 가볍게 보이도록 하였다.

 

각 평면에서는 바깥에 주거를 안쪽에는 4개층을 연결해주는 큰 보이드를 두어 녹지의 조성을 가능케 하였으며, 4개층 마다 동일한 조건의 필요시설들을 이용하여 평등에 초점을 맞추었다. 또한 송도마을과의 연계를 고려한 저층부는 1~2층에는 상권, 3~4층에는 녹지를 두기 위하여 5층부터의 주거시설을 공중에 띄우도록 하기 위해 이를 고려한 기존의 라멘구조에서 탈피하여 철근 기둥, 트러스, 코어를 이용한 타당한 구조방식을 고민해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