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935309_1a0_1
b935309_1a0_2
b935309_1a0_3
b935309_1a0_4
b935309_1a0_5
b935309_1a0_6
b935309_1a0_7
b935309_1a0_8
b935309_1a0_9
b935309_1a0_10
b935309_1a0_11
b935309_1a0_12
b935309_1a0_13
b935309_1a0_14
b935309_1a0_15
b935309_1a0_16
b935309_1a0_17
DESCRIPTION

 대상지인 광명3동은 광명사거리역을 중심으로 상업시설과 주거시설이 밀집해있어 주민들이 휴식을 취할 공간이 부족한 상황이다. 현장 답사와 뉴스 분석을 통해 광명 3동에는 문화시설과 휴식시설, 노인 복지시설이 부족하다는 점이 드러났다. 특히, 도서관과 문화시설의 부족은 지역 주민의 삶의 질을 저해하고 있으며, 노인 인구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노인 복지시설이 부족한 모습을 보여준다.

 이에 따라 도시재생을 통해 광명3동의 부족한 시설을 보완하고자 한다. 휴식공간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오픈스페이스를 중심으로 상업시설, 주거시설, 문화시설, 노인 복지시설을 유기적으로 배치하고, 주변 녹지와 연결하여 주민들의 휴식 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지하 주차장을 형성함으로써 확보한 지상 공간에 부족한 녹지와 커뮤니티 공간을 배치한다. 이를 통해 보행친화적인 환경을 조성하고, 주민들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커뮤니티 공간을 마련하여 주민 생활 환경을 개선하고자 한다.

 주요 개선안으로는 녹지축을 형성하고, 기존 상업시설과 주거시설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오픈스페이스를 확장하는 것이다. 중심 지역에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수용할 수 있는 복합 문화시설을 배치하고, 도서관, 전시관, 체육시설을 포함한 복합문화센터를 통해 주민들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고자 한다. 새롭게 형성되는 오픈스페이스 주변 건물의 저층부의 용도를 변경하는 방안을 통해 유동인구를 확보하여 중심지역으로의 유입을 활성화시킨다. 

 따라서 광명3동에 부족한 시설과 오픈스페이스들을 배치하면서 광명3동뿐만 아니라 광명시 모든 사람들을 위한 서로 소통하고 휴식하고 즐길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