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브리드 큐브-하얀 달, White Moon

C035125_1a3_12
C035125_1a3_13
C035125_1a3_14
C035125_1a3_01
C035125_1a3_02
C035125_1a3_03
C035125_1a3_04
C035125_1a3_05
C035125_1a3_06
C035125_1a3_07
C035125_1a3_08
C035125_1a3_09
C035125_1a3_10
C035125_1a3_11
DESCRIPTION

Richard Meier의 Douglas House를 분석하고 하이브리드 큐브를 제작하였다. Douglas House의 서쪽에는 거실, 식당과 같은 공용 공간이, 동쪽에는 침실, 화장실과 같은 사적 공간이 배치되어있어 서쪽과 동쪽의 대비가 크다. 이로 인해 나타나는 특징을 이용하여 라인큐브와 볼륨큐브를 제작하였다.

건물의 동선을 분석했을 때, 공용 공간은 하나의 동선으로 크게 연결되어있다. 하지만 사적 공간은 한 개의 가지에서 새로운 가지 여러 개가 뻗어 나가듯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나타나는 동선의 단순함과 복잡함의 대비를 라인큐브에 나타내었다. 더 많이 이용되는 동선일수록 굵게, 더 사적인 동선일수록 얇게 표현하였다.
공용 공간이 있는 건물의 서쪽 부분은 큰 창과 천장채광창이 있어 밝다. 하지만 사적 공간이 있는 동쪽 부분은 작은 창 몇 개가 뚫려있어 상대적으로 어둡다. 여기서 나타나는 빛과 그림자의 대비를 볼륨큐브에 나타내었다. 서쪽 부분을 나타내는 앞부분은 공용 공간을 나타내는 큰 직육면체 몇 개가 겹쳐지게 뚫려있어 빛이 잘 들게 하였고, 동쪽 부분을 나타내는 뒷부분은 아래로 내려갈수록 점점 안쪽으로 깊어지게 하여 그림자가 생기게 하였다. 그리고 작은 직육면체 여러 개가 겹치지 않고 독립적으로 쌓여있게 하여 사적 공간임을 표현했다.

하이브리드 큐브는 볼륨큐브의 형태는 그대로 두고 볼륨큐브의 앞쪽 큰 직육면체가 연결된 부분과 뒤쪽 작은 직육면체들이 쌓여 있는 부분에 각각 라인큐브의 공용 공간과 사적 공간을 표현한 것을 볼륨큐브의 형태에 맞게 적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