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이미지와 전형적 건축물 _ 일시적이고 불완전한 것들

B712075_4b0_2
B712075_4b0_3
B712075_4b0_4
B712075_4b0_5
B712075_4b0_6
B712075_4b0_7
B712075_4b0_8
B712075_4b0_9
B712075_4b0_10
B712075_4b0_11
B712075_4b0_12
B712075_4b0_13
B712075_4b0_14
B712075_4b0_15
B712075_4b0_17
B712075_4b0_18
B712075_4b0_19
B712075_4b0_20
B712075_4b0_21
B712075_4b0_22
B712075_4b0_23
B712075_4b0_24
B712075_4b0_25
B712075_4b0_26
DESCRIPTION

프로젝트명 Title of Project: 한국의 이미지와 전형적 건축물 _ 일시적이고 불완전한 것들

설계 설명 Description: 

택배 박스, 화분, 쓰레기통, 자전거, 실외기, 전깃줄… 한국의 거리는 일시적이고 견고하지 못한 것들로 가득하다.

이 프로젝트는 이러한 일시적인 요소들이 한국의 건축과 도시에서는 어떤 모습으로 드러나고 어떤 방식으로 공간을 형성하며, 또 어떻게 도시를 풍부하게 만들고 있는가에 관한 이야기다.

우선 일시적인 요소들의 지속 기간, 이들이 점유하는 공간의 크기, 다른 요소들과 결합하는 방법, 견고한 요소의 역할, 프로그램, 시스템, 재료 등의 카테고리로 이들이 도시를 풍부하게 만드는 방식을 분석했다. 그리고 각 카테고리별 분석 내용을 결합해 일시적인 요소가 만들어 낼 수 있는 한국의 전형적 건축물과 이미지를 디자인했다. (이 프로젝트에서 메인으로 활용된 분석 카테고리는 견고한 요소의 역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