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935272_2a0_01
b935272_2a0_02
b935272_2a0_09
DESCRIPTION

 과거에는 거의 구분되어 다루어졌던 농업과 주거가 현대에 들어 두 요소 간의 접점을 찾으려는 시도가 늘어나고 있고 단순히 자급자족이라는 일차원적인 이점 외에도 공동체 형성의 요인, 도심의 활력소 역할 등 여러 사회적인 효과도 얻을 수 있음이 증명되어 왔다. 이러한 경향에 따라 미래에는 더욱 두 요소 간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도시농업이 활성화될 것이라 생각되어 도시농업주택을 컨셉으로 잡았다. 이에 더하여 K-POP의 세계화로 인해 한국의 다른 문화에도 관심을 갖기 시작한 외국인의 시선에서 서양의 문화와 많은 차이를 보이는 독특한 식문화가 흥미로울 것으로 생각되어 주택에서 기를 작물을 한국의 식문화와 관련 있는 종들로 구성하였다.

 단순히 텃밭 역할을 할 수 있는 공간을 주택에 더한다기보다는 클라이언트가 식물과 농부로 나뉘고 서로 다른 특성의 두 클라이언트를 고려하여 공간을 설계한다는 개념으로 진행하였다. 기존의 농업 공간에 존재하던 공간적 특성과 동선을 사이트의 특성에 맞추어 응용하였고 이렇게 나온 논리가 건축물을 구성하는 전반적인 공간 논리가 되었다. 건물 외곽 부분에 식물의 공간을 빙 둘러 감싸듯 배치하고 인간의 공간을 그 중앙에 배치하여 농부가 다방향에서 식물을 볼 수 있고 접근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각 식물 공간의 위치와 그로 인한 일조량을 고려하여 생장환경이 다른 여러 식물들이 최적의 환경에서 자랄 수 있도록 배치하였다. 또한 벽체의 두께를 키워 내부에 배관을 설치할 수 있게 해 옥상에 내린 비가 지하 빗물저장소로 갈 수 있게 하고 또한 역으로 빗물저장소에 있는 물을 끌어올려 식물의 공간에서 사용할 수도 있게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