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335076_1b3_0
C335076_1b3_01
C335076_1b3_02
C335076_1b3_03
C335076_1b3_04
C335076_1b3_05
C335076_1b3_06
C335076_1b3_07
C335076_1b3_08
C335076_1b3_09
C335076_1b3_10
C335076_1b3_11
C335076_1b3_12
C335076_1b3_13
C335076_1b3_14
C335076_1b3_15
C335076_1b3_16
C335076_1b3_17
C335076_1b3_18
C335076_1b3_19
C335076_1b3_20
C335076_1b3_21
C335076_1b3_22
C335076_1b3_23
DESCRIPTION

경험을 쌓았으니 실패를 했든 성공을 했든 같은 장소를 헤맨 것뿐은 아닐 거야.

그렇다면 원이 아니라 나선이라는 생각을 했어.

한쪽에서만 보면 같은 곳을 돌고 있는 것처럼 보이겠지만 나는 분명 조금씩 올라가거나 내려가기도 했을 거야.

영화리틀 포레스트

CLIENT: 1인 주거 프로젝트의 클라이언트를 영화 ‘리틀 포레스트’의 주인공을 모티브로 도시적 삶과 현생에 지쳐 20대 여성으로 정했다. 이러한 주인공은 자신의 삶을 실패를 반복하지만 한 곳을 빙빙 도는 원이 아니라 점점 성장하는 나선이라고 비유한다. 영화에서 주인공은 농사와 요리 그리고 고향 친구를 만나며 삶을 치유하고 휴식한다. 여기에 나는 주인공이 도시적 삶과 현생에 지쳤기 때문에 성격이 매우 소극적으로 변했다고 추가했다.

SPACE: 클라이언트에게 필요한 공간을 생각해 봤을 때 1. 성격이 소극적이기 때문에 일과를 건물 내에서 해결할 수 있으며 자신을 숨길 수 있는 공간, 2. 하지만 내부에 머물지 않고 외부와 선택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다양한 공간, 3. 농업, 요리를 할 수 있고 가끔 있는 고향 친구와 만날 수 있는 공간들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CONCEPT: Little Forest/숲속에서 사람들이 휴식을 하듯이 밭이라는 작은 숲이라는 공간 속 혹은 아래에서 클라이언트가 휴식과 생활을 할 수 있는 주거 공간을 설계

MASS & PROGRAM: 먼저 최대 체적에 만족하는 218.3m3 직육면체를 만들고 많이 사용량에 비례하여 사적, 공적 공간을 분리하는 동시에 사적공간을 반지하로 내려 사적인 분위기를 강조했다. 또한, 중앙을 중심으로 올라가는 나선형 구조를 만들어 전체적인 형태가 주인공의 삶을 반영하고 상층으로 올라갈수록 점점 넓은 공간과 채광을 사용자가 경험하고 선택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 마지막으로 클라이언트가 다양한 작물을 기를 수 있도록 옥상 정원을 확장하고 동시에 주출입구를 가려 건물이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처럼 보이게 만들었다.

DETAIL:

1) 극도로 내성적인 사람이지만 내부에 머물게 하지 않고 외부와 소통할 수 있게

루버, 타공판, 불투명 창의 길이를 다양하게 변화, 혼합해 사용+외부와 가까워질수록 더 커지는 공간 크기

à다양한 채광이 발생하고 이를 통해 외부와 선택적 접촉 가능

2) 일과에 알맞은 동선 : 밭à화장실à거실,주방(약한 휴식)à개인방,드레스룸(강한 휴식)으로 이어지는 자연스러운 동선

3) 고향 친구들의 방문과 취미인 요리가 있기 때문에 큰 주방과 거실

4) 스킵플로어를 통해 층간의 분리보단 다양한 소통과 이벤트가 발생하도록 설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