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PERSPACE는 어떤 형태일까?
우주개발이 활발해지면서 멀지 않은 미래에 우주여행이 가능해지고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3차원 공간뿐만 아니라 다른 차원인 초공간을 갈 수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했다.
30세기 다차원 우주를 가정한 초끈이론이 증명되고, 인류는 초공간을 정복한 고등 외계 문명에게 기술을 전수받아 초공간을 여행할 수 있게 되었다고 가정한 뒤, 우주선을 타고 날아와 차원 여행을 가기 전 잠시 머무를 수 있는 호텔과 차원으로 가는 통로가 있는 우주 환승 센터를 설계했다.
초끈이론에서 기본 입자인 점을 확대하면 원이 되고 원을 확대하면 구가 된다는 원리에서 각 차원이 만나는 점인 교차점을 확대하여 구형 공간이 되었다. 공간은 중앙에 중력 핵이 위치하여 중앙에서 멀어질수록 중력이 약해진다. 중력의 차이에 따라 프로그램을 다르게 설정했다. 중력이 가장 큰 공간인 제1의공간은 지구와 유사한 컨디션으로 환승센터에 도착하여 첫 번째로 오게 되는 공간이다. 지하 1,2,3층에 객실이 있고 4층에 로비가 있다. 로비에서 대기 후 롤러코스터를 타고 저중력 상태인 제2의 공간을 지나 무중력 상태인 제3의공간으로 가게 된다. 제 3 의공간에서는 사람들이 자유롭게 유영하여 각자 원하는 차원을 선택하여 여행을 떠나게 된다.
Mbti 그래프를 면적순으로 두고 1차원부터 16차원까지 각 차원에 맞게 패턴을 디자인하여 초공간으로 가는 길인 기둥에 넣었다. 차원이 증가할수록 공간의 복잡성이 증가함을 이용하여 패턴을 디자인하였고, 사람들이 차원 여행을 떠날 때 패턴을 통해 각 차원에 어떤 공간이 펼쳐질지 상상할 수 있다. 4차원 이상의 다른 초공간은 어떠한 공간인지 증명되지 않았기 때문에 상상속의 공간을 각 차원 기둥에 사용된 패턴을 모티브로 그림으로 그려 추상적으로 표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