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ttle Central Library의 모형을 제작, 분석하여 Stable, Unstable, 외부 공간이
각각 다른 개방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Unstable 공간은 다른 두 가지 공
간의 개방 특성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고, 이를 Barcelona pavilion의 격자 플레
이로 구현하고자 했다. 수직, 수평 벽의 배치에 따라 각 공간의 개방도 차이가 발생
한다는 것에서 착안하여 수평 벽, 수직 벽의 배치, 벽 개수 강화로 다양한 개방성을
표현하였다. 최상층부와 최하층부는 개방도가 없는 Stable 상태이고, 그 외의 부분
들은 Unstable의 다양한 개방도가 표현되어 있는 구간이다. 위와 아래에 각각 수직
강화 구간, 수평 강화 구간이 존재하기에 위와 아래는 성향의 차이가 다른 공간이
만들어진다. 모델의 수직 방향 중앙 부분은 다른 성향을 가진 공간이 만나서 만들
어지는 새로운 상태의 공간이 생기고, 모델의 정중앙은 벽들의 배치로 인해 발생한
외부와는 다른 속성의 개방된 구간이 발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