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과 재창조-노 젓기

c212018_1a1,2_05
c212018_1a1,2_06
c212018_1a1,2_07
DESCRIPTION

 노 젓기 동작의 과정에서 전체적인 몸의 높이가 낮아졌다가 높아지는 양상을 보여 이를 표현했다. 또한, 그래프의 스케일링을 통해 동작 중 상체의 각도 변화를 꺾은선그래프로 표현하여 각도의 변화를 중점적으로 관찰했다. 

 팔과 다리의 굽어짐 정도를 팔과 다리가 차지하는 면적의 높이와 너비로 표현하고, 스케일링을 통해 변화를 강조했다. 또한, 팔의 회전으로 나타나는 궤도를 원 운동으로 분석했다.  

 노젓기 동작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팔을 중점적으로 분석했고, 동작을 직관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시간 순서대로 나열하는 방식이 아닌 어깨를 기준점으로 잡아 팔의 궤도를 분석하는 방식을 선택했다.  

 동작의 과정에서 움직임이 없는 오른쪽 발 끝을 기준으로 10개의 프레임을 합쳐 머리와 어깨, 팔목, 골반, 양쪽 무릎의 궤도를 분석했다. 이 궤도를 이어 노 젓기 동작을 할 때 신체가 어떤 방식으로 움직이는지 나타내었다. 큰 움직임을 위해 각 관절의 움직임이 합쳐진다는 점에서 파도의 특징과 연관 지어 생각할 수 있었고, 팔목의 궤도를 큰 파도로, 머리, 어깨, 골반, 무릎은 큰 파도를 형성하는 작은 물결의 너울거림에 대응시켜 표현하고자 했다. 

 노 젓기 동작을 각 관절의 궤적을 분석하고 조합하여 나타냈다. 이 동작에서 가장 역동적인 움직임을 보여주는 팔을 중점적으로 분석했고, 동작을 연상할 수 있도록 어깨와 발목을 기준점으로 잡아 팔과 그 외의 주요 관절들의 궤도를 분석하는 방식을 선택했다.  

 노 젓기는 각 관절의 유기적 움직임이 합쳐져 하나의 큰 동작을 형성한다. 큰 파도가 생기기 위해서는 그 주변에서 작은 파도들이 합쳐져야 한다. 이에 노 젓기 동작의 궤도들을 합쳐 파도의 이미지와 동작의 유기성을 나타내고자 했다. 이를 위해 동작의 여러 프레임들을 합쳐 머리와 어깨, 팔목, 골반, 양쪽 무릎의 궤도를 분석했다. 주요한 움직임을 나타내는 팔의 궤도는 스케일링을 통해 더 크게 표현하여 노 젓기 동작을 연상할 수 있도록 하였다. 팔을 제외한 다른 부분의 궤도는 팔의 궤도 아래쪽에 배치하여 큰 파도가 생기게 하는 작은 파도의 의미를 부여하였다.  

 모델의 중심이 되는 팔의 궤도에서 파도를 연상할 수 있도록 9개의 프레임에서 팔이 이루는 각도를 크기로 반영한 원을 사용했다. 원의 연속적인 배열에서, 원의 외곽 두께를 변경하여 원이 더 깊은 각도로 얽히게 해 동작의 유기성을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