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812036_2a0_01
B812036_2a0_02
B812036_2a0_03
B812036_2a0_04
B812036_2a0_05
B812036_2a0_06
B812036_2a0_07
B812036_2a0_08
B812036_2a0_09
B812036_2a0_10
B812036_2a0_11
B812036_2a0_12
B812036_2a0_13
B812036_2a0_14
B812036_2a0_15
B812036_2a0_16
B812036_2a0_17
DESCRIPTION

3세대 가족이 거주하는 주택이며 가족구성원으로는 할머니, 할아버지, 남편, 아내, 아들이 있다.

아내에게는 우울증이 있다.

우울증은 현재 세계 10대 질병안에 들 정도로 흔한 질병이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정신적 질환에 대한 병원 치료를 기피하려는 문화가 존재한다. 또한 병원에서 내원자를 정신적 “환자”로 인식하는 것과 병원이란 공간이 환자 자신이 정신적 문제가 있고, 그것을 치료하기 위한 의식적 행위가 이루어진다는 것, 즉 환자가 병원에 있는 동안 자신의 질병을 의식하고 있다는 것과, 정신적 질환은 자신의 질병을 의식하지 않을 때 자연스럽게 치유되는 점이 상충된다는 관점에서 최근 병원에서 자연스러운 치유를 위한 공간이 등장하고 있다.

정신적 문제에서의 환자와 일반인은 질병의 유/무가 아닌 정도의 차이라는 점, 즉 누구나 정신적 문제가 있다는 점에서 생활공간에서의 자연스러운 치유는 누구에게나 유효하다.

생활공간에서의 자연스러운 치유를 유도하는 요소로 크게 사람, 빛, 자연을 선정해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려 했다. 가장 쉽게 접하는 요소이지만, 사람의 심리에 많은 영향을 미치며 짧은 시간에 많은 변화를 제공한다. 그리고 그 변화들로 사람은 적절한 자극을 받는다.  

 

사람

불안한 심리로 항상 가족과 함께하고 싶어하는 아내의 심리와 아내의 치유를 바라는 가족의 심리는 집에서의 대부분의 공간을 함께 사용하면 된다는 생각에서 침실을 제외한 모든 공간을 공용공간으로 설정했다. 우울증은 신체적 무기력증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L, DK, 서재가 공용공간으로 각 층에 배치함으로써 아내의 동선을 길게하며 동선상에서 적절한 자극에 노출되도록 했다.

 

우리는 비교대상 또는 기준이 있을 때 물체 또는 현상을 더 잘 인식한다. 2층의 루버로 둘러싸인 공간은 외부와 주방을 연결해주는 동선이면서 앉아서 밖을 조망할 수 있는 공간이 된다. 이 공간을 둘러싼 루버 부재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적절한 양의 빛을 유입시키고, 부재로 인해 생기는 그림자와 틈으로 들어오는 빛의 반복이 적절한 자극을 제공한다.

 

자연

옥외공간에서의 자연은 인간에게 신체적 정신적인 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특히 신체적인 면에 있어서는 옥외 공간에서 활동으로 인한 운동적인 효과와 더불어 자연스러운 빛치료로 인해 수면 장애 완화와 더불어 식물을 통한 면역체계도 향상시킨다. 1층의 할아버지, 할머니의 온실과 옥상의 정원은 그들의 취미 요소이자 자연을 접할 수 있는 장소이다. 옥상 정원의 경우, 제한된 크기의 땅에서 긴 동선을 유도하기 위해 폐곡선형의 동선을 만들었고, 개곡선형과 달리 물리적 동선의 종점이 존재하지 않아 더 오래 정원에 머무를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