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브리드 큐브

b935503_1a3_01
b935503_1a3_02
b935503_1a3_03
b935503_1a3_04
b935503_1a3_05
b935503_1a3_06
b935503_1a3_07
b935503_1a3_08
DESCRIPTION

fisher house를 지배하고 있는 언어는 ‘구분’이다. 딸과 부모님이 사는 공간을 층으로 분리하였고 사적공간과 공적공간을 두 개의 매스를 이용하여 구분하였으며 servant place와 served place는 주택 내에서 구분되어 각각 서로 모여있다. fisher house의 구분된 공간 및 이동동선을 면(plane)과 볼륨(volume)을 이용하여 표현하였다. 딸과 부모님의 이동동선을 구분하기 위해 기본단위를 면으로 잡았다. 또한 served place는 servant place에 비해 이동동선에 명확한 방향성이 없어서 면이 아닌 볼륨으로 이동동선을 표현하였다. 면과 볼륨을 통해 표현된 이동동선을 ‘주택 자체의 축’이 아닌 ‘4개의 단면을 이용하여 형성한 새로운 축’을 이용하여 큐브내에 배치하였다. 이때 4개의 단면은 사적공간에서 바라보는 2개의 단면과 공적공간에서 바라보는 2개의 단면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를 기준으로 servant place의 이동동선을 표현한 면들이 수직관계를 이루며 배치된다. 이렇게 배치된 면들은 각각 사적공간과 공적공간의 좌표가 되고 이 좌표를 기준으로 served place의 이동동선을 표현한 볼륨들이 배치된다. 추가로 큐브의 내용을 명확히 전달하기 위해 선(line)을 이용하여 각 층에 배치된 면과 볼륨의 크기를 조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