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612026_4b0_01
b612026_4b0_02
b612026_4b0_03
b612026_4b0_10
b612026_4b0_11
b612026_4b0_18
b612026_4b0_19
b612026_4b0_20
b612026_4b0_21
b612026_4b0_22
b612026_4b0_23
b612026_4b0_24
b612026_4b0_25
b612026_4b0_26
b612026_4b0_27
b612026_4b0_28
b612026_4b0_29
b612026_4b0_32
b612026_4b0_33
b612026_4b0_35
b612026_4b0_36
b612026_4b0_37
대한민국은 사계절이 뚜렷하다.

비는 주로 5월 말부터 9월 말까지 내리며, 강수량은 7,8월에 가장 많다.

떨어진 빗물들은 지반으로 흡수되어 토양을 적시고, 그렇게 토양을 따라 흐른 비는 강으로 모여 끝내 바다가 된다. 도시를 유지하는 데 비는 필수적인 요소이기에 비는 축복이다. 그러나 비는 동시에 재앙이기도 한다. 콘크리트를 적신 비는 땅을 무르게 하고, 지반을 침하시키는 등 도시에 갖가지 불안정을 초래한다. 이에 맞서 인간은 “빗물펌프장”이라는 도시계획시설을 개발하게 된다.

서울특별시에는 총 114개의 빗물펌프장이 존재한다. 빗물펌프장은 5월 말부터 9월 말까지 약 155일, 1년 중 42%의 기간 동안 동적 공간이 된다. 이에 반해 211일, 58%의 기간 동안 정적 공간이 된다. 확장이 아닌 재발견의 시대로 나아가고 있는 도시 발전 속 1년의 반 이상의 시간이 멈추어 있는 앞선 공간은 몹시 비효율적인 공간인 것이다.

이에 나는 비어 있던 211일의 시간에 도시에 다양한 숨결을 채워줄 수 있는 공간을 짓는 동시에, 하나의 목적으로만 운영되던 155일의 시간에 새로운 역할을 제안한다.

Archipelago : 공간의 시간성

본디 하나의 대지였던 군도는 ‘물’이라는 요소로 인해 단절되고, 각각 다른 섬으로 인식된다. 암초는 섬이 될 수 있었고, 섬은 암초가 될 수 있었다. 과연 시간에 따라 본 공간이 하나 또는 두 개 또는 세 개가 된다면 사람들은 변화된 공간을 이전과 같다고 인식할 수 있을까. 하나의 목적, 하나의 형태, 하나의 공간으로 멈추어 있던 빗물펌프장이 ‘공간의 시간성’이라는 개념 속에서 시간(비 또는 빗물)에 따라 변화하는 공간으로 구성된다면, X,Y,Z 축으로 정지된 공간이 아닌 X,Y,Z,T(time)의 가변적인 공간이 될 수 있지 않을까.

공간은 시간에 의해 변화되고 영향을 받는다. 그리고 건축가는 그 시간을 설계해 공간을 만든다. 비어있는 시간을 채우고, 채워진 시간을 비워내며 도시계획시설 중 하나인 “빗물펌프장”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