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화의 연속 그리고 조화

C035437_1a1,2_01
C035437_1a1,2_02
C035437_1a1,2_03
C035437_1a1,2_04
C035437_1a1,2_05
C035437_1a1,2_06
C035437_1a1,2_07
C035437_1a1,2_08
C035437_1a1,2_09
C035437_1a1,2_10
DESCRIPTION

인체비례와 동작분석(언더핸드 투구동작)
1차 과제로 선정한 동작은 ‘언더핸드 투구동작’이다. 이 동작은 한쪽발을 들어올리는 ‘와인드업’, 허리를 숙이며 허리를 비트는 동작, 한쪽 팔을 아래로 내리며 투구하는 동작이 핵심적인 동작들이다. 이 동작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사진을 찍어 프레임별로 나열하였고, 인체에서 관절이 있는 부분등 동작이 핵심적인 부분들을 점으로 표현하였고, 그 점들을 이어 다이어그램을 만들어 동작의 진행을 보기 쉽게 하였다.
분석하기로 선정한 동작이 투구하는 동작이였기 때문에 한쪽 팔을 들어올리는 기본적인 동작을 기준으로 본인의 인체비례를 분석했고, 신체에서 관절이 있는 부분들을 점을 찍어 옆에다 keynote로 표시하였다. 또한, 투구하는데 팔과 다리의 회전이 핵심적인 움직임이여서, 팔과 다리를 회전하는 다이어그램을 넣었다.
투구동작 중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신체의 부분 중 세 곳을 점으로 찍어 표시하였고, 각각 a, b, c로 표시를 했다(a=팔꿈치, b=무릎, c=허리). 언더핸드 투구동작에서 와인드업, 허리의 뒤틀림, 팔의 회전이 가장 중요하다 생각하여 이러한 신체의 부분을 뽑았다. 이 세 점을 프레임별로 삼각형으로 이었고 나열하였다. 여기서 a, b, c점끼리 각각 다른 색으로 선을 이었다. 이러한 다이어그램을 통하여 언더핸드 투구동작에서 몸의 뒤틀림 등의 역동성을 볼 수 있다. 또한 각 신체부분의 높이변화를 쉽게 볼 수 있다. a, b, c점의 프레임별 각도를 그래프화 시켜, 이 투구동작에서 a, b, c의 신체부분 각도가 얼마나 변화하는지를 볼 수 있다. 이때, 동작이 연속된 동작이므로 각도그래프를 부드러운 곡선으로 처리했다. 이러한 다이어그램 3개를 한페이지에 넣어서 언더핸드 투구동작의 역동성을 여러 측면으로 볼 수 있다.

변화의 연속 그리고 조화
이 오브제는 선과 면으로 구성되어 3차원의 오브제를 만든다. 선과 면의 비중이 같게 하였고, 선에는 두께로 다양성을 주었고, 면은 패턴과 앞뒤가 다른 색으로 다양화를 주었다. 얇은 선재는 계속하여 다른 모양으로 뒤틀리고 펴지고 크기가 달라지며 연속하여 변화한다. 굵은 선재는 계속 높낮이가 달라지며, 꺾이고 때로는 면을 뚫기도 하여 연속하여 변화한다. 면들은 패턴화 된 X, / 모양이 반복되고, 각 프레임별 팔이 차지하는 공간만큼 벌려진다. 이때 빛이 통하면 그림자나 빛을 통해 새로운 선과 면을 볼 수 있고, 면과 선의 비중이 같게 오브제를 구성한 의도가 더 잘 드러난다. 또한, 위에서 내려다 보는 오브제와 밑에서 올려다 보는 오브제는 전혀 다른 느낌을 주고, 보는 방향에 따라 각각 다른 감상을 할 수 있다. 얇고 굵은 선재, 면들은 연속하여 변화하고, 각각 따로 본다면 모두 다른 모양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요소들을 한 오브제로 구성하며 모든 요소들은 조화된다.
인체비례 및 동작 분석을 하면서 나온 다이어그램을 이용하고 발전시켜 3차원으로 재창조 하였다. 기본적인 뼈대는 1차과제의 다이어그램을 발전시킨 새로운 다이어그램을 이용한 것으로 얇은 선재이다. 이 얇은 선재에서 각 동작의 구부려짐 등을 볼 수 있다. 굵은 선재는 전체적인 동작에서의 높낮이 변화를 보여준다. 이러한 기본적인 모형의 뼈대를 구성하고, 재창조 과정을 모형에 담았다. 투구동작은 우리가 생각하기에 옆에서 봤을 때, 한쪽으로 가는 짧은 직선형 동작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러한 동작을 프레임별로 나누고, 어깨선을 각 프레임마다 이으면, 위에서 내려다 봤을 때 이 동작은 곡선으로 진행된다. 이를 이용하여 얇은 선재의 뼈대를 일직선이 아닌 곡선으로 세웠고, 굵은 선재로 연결하였다. 앞뒤 색이 다른 면은 뼈대의 위쪽 반을 덮는다. 이러한 면들은 위에서 오브제를 내려다 보았을 때 색의 대비로 동작의 변화를 엿보여준다. 굵은 선재는 면들을 뚫고 지나가기도 한다. 이를 통하여 동작의 역동성과 동작의 변화를 느낄 수 있다. 면들은 X모양과 / 모양으로 나뉘어져 있는데 이는 1차 과제의 그래프 다이어그램을 이용하여 패턴화 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