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라나는 삼청마을

B812043_2b0_01
B812043_2b0_03
B812043_2b0_04
B812043_2b0_05
B812043_2b0_07
B812043_2b0_06
B812043_2b0_08
B812043_2b0_09
B812043_2b0_10
B812043_2b0_11
B812043_2b0_12
B812043_2b0_13
DESCRIPTION

삼청동에는 아이들을 위한 체험 교육이 부족하다는 점과 현재 삼청동 주민센터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은 다양한 연령층이 함께 참여하기 어렵다는 점을 보완할 수 있는 복합 커뮤니티 센터를 만들고자 했다. 주민들에게 체험의 기회를 제공하고, 다양한 연령층이 함께 활동 하면서 마을 커뮤니티를 형성하고자 했다. 다양한 연령층이 함께할 수 있는 체험 활동인 텃밭 가꾸기를 주요 프로그램으로 선정하였다. 텃밭 가꾸기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공유주방을 운영하고, 삼청동의 문화적 맥락을 고려해서 갤러리들과 연계하여 공방에서 다양한 체험 교실을 운영하고자 했다.

매스를 구성할 때 주민센터 이용자와 문화센터 이용자가 다르기 때문에 주민센터와 문화센터 매스를 분리하였다. 주민센터 매스는 접근성을 위해 도로에 면하는 동쪽에 배치하였고, 문화센터 매스는 주민센터 매스 뒤쪽에 배치하였다. 그리고 분리된 주민센터와 문화센터 매스를 연결했다. 사이트 서쪽에 있는 산은 옹벽으로 막혀 있어 활용할 수 없었기 때문에 주변 녹지를 사이트 중심에 유입하여 중정을 만들었다. 주민센터 이용자들은 주출입구로 들어오고, 문화센터 이용자들은 안뜰을 지나 부출입구로 들어온다. 램프와 결합된 야외 텃밭은 안뜰과 2층의 온실을 연결해준다. 2층 온실과 3층 온실은 내부에서 연결된다. 안뜰에서부터 2, 3층 온실과 옥상정원까지 이어지는 흐름을 만들고자 했다.

1층에는 민원실과 갤러리 카페, 공유주방이 있다. 갤러리 카페는 공방에서 주민들이 만든 작품을 전시하고, 주민들의 커뮤니티가 형성될 수 있는 쉼터이다. 갤러리 카페에 보이드 공간을 만들어 공간의 확장을 느낄 수 있도록 하였고, 안뜰과 텃밭을 조망할 수 있도록 하였다. 공유주방에서는 텃밭에서 재배한 작물을 사용하여 요리를 하기도 하고 요리교실이 운영되기도 한다. 2층에는 주민센터 업무시설과 갤러리 카페, 작물 재배 온실이 있다. 작물 재배 온실에서는 주민들이 직접 작물을 재배하고, 주변 어린이집, 유치원, 학교와 연계하여 생태체험 교실이 운영된다. 3층에는 작물 재배 온실과 꽃 재배 온실, 공방, 오픈 작업실이 있다. 공방에서는 꽃 재배 온실에서 재배한 꽃을 활용한 꽃꽂이 교실이 열리고, 주변 갤러리와 연계된 다양한 체험 교실이 운영된다. 온실에서 재배한 꽃은 삼청동 마을 커뮤니티인 북촌로 아뜰리에와 연계하여 골목길 꽃길 가꾸기 프로그램에 활용된다. 오픈 작업실은 주민들뿐만 아니라 작업 공간이 없는 청년 예술가들에게 작업 공간을 제공한다. 옥상층에는 옥상정원과 야외 텃밭이 있다. 옥상정원의 일부는 지붕까지 루버를 연결하여 외부이지만 내부인 것과 같은 공간을 만들고자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