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712027_3b0_01
B712027_3b0_02
B712027_3b0_03
B712027_3b0_04
B712027_3b0_05
B712027_3b0_06
B712027_3b0_07
B712027_3b0_08
B712027_3b0_09
B712027_3b0_10
B712027_3b0_11
B712027_3b0_12
B712027_3b0_13
B712027_3b0_14
Descriptio

학교를 리모델링하기 전, 약 40년 후 머나먼 미래의 학교에 다니는 아이들에게 필요한 교육은 무엇일지에 대해 먼저 생각해보았다. 급속하게 변화하는 환경, 발전하는 기술에 우리는 적응해야하고 살아가야한다. 그래서 개인적으로 미래 교육 목표를 적응성, 회복력과 투지력, 지속적으로 배우려는 사고방식으로 새로이 확립하고, 주입식 교육을 위한 선생님이 아닌 개인의 컨설턴트 역할이 더 강화된 지도자를 고용하여 아이들이 미래의 급속한 변화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이번 리모델링의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하지만 그에 비해 한강초등학교는 비좁은 복도와 어두운 환경으로 조성 되어있고 대지가 매우 작아 운동장도 협소하여 아이들의 자유롭게 사고를 할 수 없을 것 같은 답답한 학교에 불과했다. 따라서 아이들이 숲에서 뛰어놀고 올라가고 자신들만의 영역을 만들고 하는 등 숲이라는 공간을 형성해주면 좋을 것 같다고 생각되었다. 여기서 더 나아가 저는 빈공간이라는 것에 대해서 연구를 하였다. 숲이라는 이미지를 떠올려서 저층부 중층부 상층부로 나누어 공간을 형성하였다.

The ratio of the e-space & space

그래스호퍼를 사용하여 모든 변의 길이가 9m가 되는 정육면체를 기반으로 하여 보이드와 솔리드의 관계를 비율적으로 조절하여 공간이 어떻게 형성되는지 알아보았다. 랜덤하게 점을 뿌린 후, 각 점에서 작용하는 힘의 크기에 따라서 어떻게 공간이 형성되는지를 연구하여 가장 이상적인 형태를 찾아내는 연구를 하였다. 직접 찰흙으로 만들어보기도 하고 3d프린팅을 통해 만들어보기도 하였다.